[편집자주]오늘날 플라스틱은 인류의 축복이자 재앙이다. 한 번 쓰고 버리는 편리함을 무기로 우리 일상에 깊숙이 들어왔지만 자연 분해되는 데에만 450년이 넘게 걸리고 이 과정에서 땅과 바다에 온갖 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탓이다. 제주 역시 섬 지역 특성상 이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제주의 플라스틱 실태를 살펴보고, 탈(脫)플라스틱 사회로 가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과 가능성을 짚어 본다.
 


(제주=뉴스1) 강승남 기자 = 최근 소비들의 상품구매 기준이 복잡해졌다. 단순히 제품만 보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이미지도 선택기준이 된다. 해당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행 수준과 환경보전에 대한 관심도 등이 중요한 요소가 된 것이다.

최근 기업들이 플라스틱 문제에 관심을 갖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글로벌 아웃도어 브랜드 ㈜비와이엔블랙야크(이하 블랙야크)는 'BYN 자원순환 프로젝트'를 시행하고 있다. 특히 기존 재생 패션 상품의 원료를 수입에 의존하던 것에서 탈피, 국내에서 사용된 페트병을 재활용하고 있다.

블랙야크는 국내에서 사용된 페트병으로 만든 친환경 제품인 '플러스틱 컬렉션'을 최근 출시했다. 플러스틱(PLUSTIC)은 '플러스(Plus)'와 '플라스틱(Plastic)'의 합성어다. '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지구에 플러스가 된다'는 의미를 담았다.

SK텔레콤은 제주지역 카페에서 일회용 플라스틱컵 대신 다회용컵을 사용하는 '에코제주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다. '해피해빗'앱을 개발하고 무인반납기를 운영하면서 다회용컵 사용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지난 1년간 에코제주 프로젝트를 통해 일회용컵 약 270만개 사용을 감축한 것으로 추산됐다. 탄소배출 저감효과도 79톤에 달한다.

 

 


온라인제주여행 예약 플랫폼 '제주패스'를 운영하는 캐플릭스는 수년 전부터 플라스틱 문제에 관심을 가진 제주기업이다.

2018년 '플라스틱 프리 캠페인'이 대표적이다. 사용 중인 텀블러의 사진을 찍은 뒤 해시태그를 달고 인스타그램에 게시하면, 게시글 1건당 1000원을 적립하는 것이다. 적립금으로 해녀텀블러를 제작해 판매수익을 WWF(세계자연기금)에 기부하는 것으로 캠페인은 막을 내렸다.

이밖에도 1950년 창립한 제주토종기업인 ㈜한라산은 최근 '탈 플라스틱 챌린지'에 동참을 선언했다. 대표브랜드 한라산소주의 생산과정과 유통과정에서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겠다는 것이다. 또 하는 것이다. 또 ㈜한라산은 해양환경 정화활동을 적극 지원하는 등 플라스틱의 위협으로부터 제주를 지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이들 기업들의 '탈 플라스틱 노력'은 오는 8월4~5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2 제주플러스 국제환경포럼에서 소개된다.

 

 

저작권자 © 뉴스1제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